Hybrid Space 

(*Korean version will be followed)

Eunju Lee (Curator and Art Historian) 

 


Including her recent body of work, artist Lee Jihyun’s art has been a process of merging the private spaces and the public places she has visited. Images of popular tourist destinations become an extension of private spaces such as the inside of a closet or the surface of a desk, simultaneously forming a unique time and space on the surface of the painting. What convey the fact that the painting is a hybrid of the two spaces, though, are the different applications of scale, and our own logical visual experiences of those spaces. However, the touristy places filled with unfamiliar faces are received into a personal dimension through the surrounding familiar personal belongings, such as bead earrings, pencils in pencil cases, make-up on the table and clothes in the closet. The clothes that spill out of the archways of the Coliseum, or the earrings that drape in the Smithsonian museum like chandeliers allow us to imagine a chain that is linked through a complex network and flow of memory and consciousness. Whether the chain is destined or arbitrary is not the issue. Video-like images and thoughts are edited and crossed-over from a complex flow like a scene from a movie. The images that are momentarily blended remind us that our sense of vision isn’t fixed on one spot, but is always hovering in the space layered with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It’s important to remember that Lee’s work departed from depictions of her studio space and other personal spaces like the inside of her closet. Even in her latest works that depict striking images of public places, the essential motif is invariably the private space. In the layers of colorful spaces, most of her personal belongings depicted in large-scale enter the public spaces, filling up the space like the belongings of Gulliver. Prominent public places like the Coliseum become an essential element in the humorous space-arranging game that the artist leads, melting into the make-up table drawer, desk corner, and closet cabinet. The image of the interior of accessory box and the sparkling green earring on the neck of the stuffed elephant in Smithsonian + Rm_2, the make-up table shown through the Roman archways in Assisi de San Francesco + Rm_1, the studio space extending above from the wall of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in MoMA + Studio_5, all reveal a moment when a personal history is seeped into the monumental architecture. These images of the exterior public space exhibited as the interior private space create a unique interior still life painting rather than a touristy landscape painting. 

Historically, paintings of the interior spaces have symbolized the comfortable life of the Bourgeois. The owner of the room enforces his or her authority over the possessions, by examining the belongings properly placed within one’s range of vision. What is confirmed through the non-rebellious possessions in the room is the power of being in the place of the possessor. By comparing the unrivaled changes that take place in the real world outside and his fixed possessions in the private space of the room, the owner feels satisfaction and security of being in his position. One can say that most of the paintings of the private interior spaces usually reflect the desire to preserve and guard oneself. In this sense, Lee’s interior paintings situate themselves at a humorous standpoint, as they are not totally depictions of the private spaces, nor do they reflect only one gaze, but are mysterious and unfixed spaces that are simultaneously both an interior space and a tourist site.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 belongings in her work acquire an unfixed state of influx due to the hint of mobility shown by the tourist destinations. Through these transitions, we are therefore able to perceive that the artist is not so interested in the matters themselves, but in grasping the flow of consciousness. 

In her work, the perception of the narrative doesn’t rest on a specific room, but is situated in the outside of the rooms where she can look at various spaces at one time. In such a case, the recognition that ‘I’m the one moving’ becomes a more important realization than the question ‘Who am I?’ For Lee, acquiring multiple ways of perception through moving from one dimension to another is a more important issue than standing in one point of view, and confirming one’s authority over a certain space. The spaces that Lee chooses, reforms, then puts on the painting’s surface, have no set logical probabilities. If there is anything in common, it is that the spaces originated from the artist’s own memories and consciousness. As the title of her exhibition Reflective Surface implies, Lee’s paintings show that the artist herself is the editor who freely blends and combines spaces as if it were a game. This is why her work is unfixed, unfinished, and has an open structure. The important issue is not the idea that one dimension is linked to another dimension, but that our consciousness itself is illogical, multi-faceted and fragmented. Mixing the two heterogeneous dimensions doesn’t imply that Lee’s interests lie in exploring the unknown dimensions like the closet in the movie Chronicles of Narnia, but in revealing the fact that our consciousness is composed of so many layers that have no beginning and no end. 

In this sense, Lee’s painting surfaces are a hypertext that exists on the multiple layers of dimensional planes. On the painting’s plane flows the artist’s consciousness along with the thoughts on the issues of painting itself. Structures of the rectangular frame often appear in her paintings. The concept of another painting within the painting has appeared in the work Window II in frame in her first solo exhibition in 2003. In the 2005 painting Café Lalo + Studio, Lee dealt with the historical issues of representation in painting and its relationship to the rectangular frame, by inserting in the paintings, photographs that used an actual window. The actual mirrors that were often displayed in her work disappeared in her last solo exhibition, materializing only in paintings, and then they reappeared in the painting-installation works shown in this present solo exhibition at ARARIO Seoul Gallery. A.Seo+Dining Rm is a grand-scale painting that will fill one wall at ARARIO Seoul Gallery, and it is a representation of the real gallery wall that will hold the actual painting. In this picture is painted a large black mirror which will actually be hung on one of the gallery walls as a part of the exhibition. This expresses the complex link between the painting’s represen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In addition, the gallery wall depicted in the painting holds the image of the antique-style living room that Lee often depicted in her work, forming duplicate images in the frame structure. The question is then can we say that the living room scene is the painting? Or, is it a motif within the painting? The audience falls into a maze with no answers.

Artists resort to their individualistic artistic method and approach when facing the assignment of having to compress the 3-dimensional, synesthetic, multi-layered and interdependent structured world onto the flat surface of a painting. The methodology that Lee chose was to turn our fragmented consciousness into a non-linear line. When the mental spaces so mysteriously connected like the Moebius strip are compressed onto the painting surface, it can conclude in a simple one-dimensional story, can be a refined guide that leads out of the complexity. We feel awe in front of the simple Friar Angelico’s painting because the surface of this painting provides a doorway into a broad world outside. However, Lee’s paintings hold skepticism regarding the long-standing faith in such a perfect exit. Rather, Lee solves the problems of painting, by accepting the insecurities associated with the surface of the painting. Her approach also disagrees with the absolute perfectionism of the 2-dimensional planes of the Modernism era. She knows well that she cannot materialize the dynamics of life and organic flow of the consciousness on a surface of a painting. 

As a postmodern artist who accepts painting’s fate of being a method to represent the matter, Lee explores the ways of perceiving with no beginning and end through her paintings. From the early paintings that reflected elements of drawing, to the mirror projects, frame structured paintings and other recent works, Lee’s work reflects the diversity of the human intelligence structure formed by the perception and consciousness that moves from one dimension to another. She lays out a game of space and time on the surface of the painting, by corresponding between the heterogeneous dimensions. Parthenon+PIC_Jenga in her 2006 solo exhibition, is a painting that forms a link between the Parthenon and Jenga game. In this painting, Parthenon appears as an element of Jenga game, as the bricks of Parthenon intermingles with Jenga bricks. The artist focusing on the Jenga game is depicted in the painting, but this also portrays Lee’s role as an artist. As if playing a game, Lee is mixing and deleting dimensions of time and space, forming an autonomous painting space. Because the outlook of the game is formed by the supervisor with full control, it’s impossible to predict how that game of time and space will turn out. However,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we can detect a small change of direction in her recent work Erecthion + Jeju Studio. In this painting, the awe-inspiring temple and her studio are mixed, and rather than appearing as an interior scenery like her other works, it appears to have elements of Surrealism. This is because the painting focuses more on the background sky and the outside scenery. This change is the result of a long-term exploration into the subject of interior space and objects, and I eagerly await to see the impact such direction will have on the future work of Lee Jihyun.

 

*This essay was written on the occasion of Jihyun Lee's solo exhibition, 'Reflective Surface' at ARARIO gallery Seoul in 2008

하이브리드 스페이스

이은주 (큐레이터, 미술사)

최근작에 이르기까지 이지현의 작업들은 자신이 방문했던 공공적인 장소들과 사적인 장소들을 뒤섞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왔다. 유명한 여행지의 장소들이 옷장 안이나 책상 위의 기물들과 같은 개인적 용도의 공간과 연결되면서 회화 평면 안에 펼쳐져 두개인 동시에 하나인 독특한 시공간을 형성한다. 이것이 상이한 두 장소의 혼합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것은 각기 다르게 적용된 스케일, 그리고 공간에 대한 우리의 상식적인 시지각 경험들이다. 그러나 낯선 타인들로 가득한 여행지의 공간은 우리에게 이미 익숙한 사적 기물들, 예컨대 비즈 귀걸이나 연필통 속 필기구들, 화장대 위에 나란히 놓인 화장품, 옷장 속의 옷가지와 같은 것들에 의해서 개인적 차원 속으로 수용된다. 콜로세움의 아치형 문 밖으로 삐져나온 옷가지들이나 스미소니안 박물관 천정에 샹들리에처럼 드리워진 귀걸이들은 혼재된 기억의 풍경이나 의식의 흐름 속에서 연결된 어떠한 고리들을 상상하게 한다. 그 고리들이 필연적인 것이든 우연적인 것이든 중요하지 않다. 연상 작용처럼 떠오르는 이미지와 사고들은 복잡한 흐름 속에서 영화의 한 장면처럼 교차 편집된다. 일시적으로 조합되는 장면들은 우리의 시지각이 하나의 것들을 향하지 않으며, 언제나 안과 밖이 다중적으로 얽혀있는 공간 속에서 배회하고 있음을 상기시킨다.

이지현의 작업이 애초에 화실풍경, 옷장 안과 같이 매우 사적인 실내 정경에서 출발했다는 점은 주지해야할 점이다. 최근작에서 현저하게 보이는 공공 공간들과의 혼합 양상 속에서도 작품의 주요한 모티프가 되고 있는 것은 여전히 사적인 공간이다. 다채로운 공간의 층위 속에서도 대부분의 개인적인 기물들은 공적인 공간 속에 커다랗게 드리워지거나 마치 걸리버의 소품들처럼 공간의 여백을 채우고 있다. 콜로세움처럼 유명한 공공 장소들은 작가가 주도하는 흥미로운 공간 놀이의 한 요소가 되어, 화장품 서랍장이나 책상의 한 모퉁이, 옷장의 한 칸의 일부로 용해된다. 에서 발견되는 악세서리 장 속 풍경이나 박제된 코끼리 목에 걸린 반짝이는 초록귀걸이, 에서 아시시의 로마식 아치 뒤로 펼쳐지는 화장대 풍경, 에서 뉴욕 근대미술관 벽면 위에 나타나는 또 다른 화실 풍경과 같은 장면들은 기념비적 건축물 위에 개인이 역사가 스며들고 있는 순간을 드러낸다. 외부의 공간이 사적인 공간으로 전이된 이러한 장면은 여행 풍경화가 아닌, 일종의 독특한 실내 풍경화를 만들어낸다.

역사적으로 실내 풍경화는 부르조아의 안락한 실내 생활에 대한 표징이 되어왔다. 방의 소유자는 자신의 시각장(視覺場) 안에서 모든 것이 제자리에 놓여있는 실내 기물들을 응시함으로써, 소유물에 대한 주권을 확인한다. 반란하지 않는 실내 정물들을 통해서 증명되는 것은 결국 소유자 자신이 서 있는 자리의 견고함이다. 변화무쌍한 외부의 현실과 대조적인 이 부동(不動)의 장면을 바라보면서 소유자는 자기 위치의 안전함을 획득하고 만족감을 느낀다. 이 같은 맥락에서 실내 풍경화들은 대부분 자기보존의 욕구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이지현의 실내 풍경화는 매우 흥미로운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그것은 완전히 사적인 실내 공간이 아니며, 하나의 응시만을 반영하지도 않고, 실내 공간인 동시에 여행지의 임의성을 동반하고 있는 비확정적이고 반귀납적인 공간이기 때문이다. 그의 작업 속에서 사적인 기물들이 가진 개인성은 여행지가 드러내는 임의성과 이동가능성에 의해서, 딱히 고정될 수 없는 어떠한 흐름의 상태를 획득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이과정을 통해 우리는 작가의 관심사가 기물들 자체가 아니라 그가 붙잡고자 하는 어떠한 의식의 흐름과 더 긴밀하게 연루되어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이지현의 작업 속에서 화자의 시선은 특정한 방 안에 머무르지 않으며, 다양한 장소들의 양상들을 동시에 바라볼 수 있는 방들의 바깥 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내가 누구인가’ 보다는 ‘이동하고 있는 것이 나’라는 의식 자체가 중요해진다. 하나의 공간에 대한 소유권을 확인하는 일점원근법적 인식 보다 공간의 차원들 사이를 이동하며 지각하는 다중적 인지방식이 더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지현이 선택하고 재구성하는 회화평면 위의 공간들 사이에는 어떠한 논리적 개연성도 없다. 어떤 공집합이 있다면 그것이 다름 아닌 작가 자신의 기억과 의식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라는 점이다. 라는 전시 제목이 암시해주듯이, 이지현의 회화가 궁극적으로 지시하는 것은 게임을 하듯이 공간들을 자유롭게 중첩시키고 연결시키는 편집자로서의 작가 자신인 셈이다. 그의 작업이 비확정적이고 비완결적이며 개방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차원이 다른 차원과 연결된다는 사실 보다도 우리의 의식 자체가 논리정연하지 않으며 다중적이고 파편적이라는 점이 더욱 중요하다. 이지현은 두개의 이질적 차원을 중첩시키면서「나니아 연대기」와 같이 옷장 속에 비밀스럽게 숨겨진 미지의 차원들을 탐구하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의식 자체가 시작과 끝이 없는 수많은 복수적 층위들로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 자체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지현의 회화 평면은 다채로운 층위의 차원들 표면 위에 존재하는 하이퍼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 평면 안에서 작가의 의식은 회화의 문제와 결부되어 흘러간다. 그의 그림 속에는 종종 액자 구조가 나타난다. 사각의 회화 프레임 속에 있는 또 다른 그림이라는 개념은 2003년 첫 개인전 작품 에서도 등장한 바 있다. 2005년작 에서는 실제의 창틀을 이용한 사진을 회화 속에 삽입하여, 회화의 역사에 있어서 사각 프레임과 관련된 재현의 문제를 다루었다. 지난 작업들에서 종종 사용되었던 거울은 회화 캔버스로만 구현되었던 지난 개인전에서 사라졌다가, 이번 전시에서 회화-설치작업의 일부로서 다시 등장하였다. 아라리오 갤러리의 한 벽면을 꽉 채울 대형 회화작품 은 실제 그림이 걸릴 갤러리 벽면을 재현한 것이다. 이 그림 속에는 이번 전시 작업의 일부로 아라리오 갤러리 벽면 한 편에 실제로 설치될 거대한 흑경이 그려져 있음으로써, 회화적 재현과 결부된 실재와 환영의 문제를 복잡하게 구현하고 있다. 또한 그림 속 갤러리의 벽면에는 이지현의 작업에서 종종 등장해온 고풍스러운 거실 풍경 그림이 걸려있어 이중의 액자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 거실 풍경은 그림인가? 아니면 그림 속 모티프인가? 흑경에 비춰질 그림은 실재인가 환영인가? 관람자들은 결론을 내릴 수 없는 미궁 속에 빠져들게 될 것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입체적인 환경들, 즉 공감각적이고 다층적이며 복잡하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 구조를 회화라는 하나의 납작한 평면 안에 구현해야하는 과제 앞에서, 화가들은 다양한 선택을 하게 된다. 이지현이 줄곧 선택해온 길은 의식의 파편들을 비선형적인 동선으로 엮어내는 것이었다. 뫼비우스의 띠처럼 기묘하게 연결된 정신적 공간들이 회화 평면 안에 압축되었을 때 그것은 자칫 단차원으로 귀결된 단조로운 이야기가 될 수도 있고, 혹은 복잡함 속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보다 더 정련된 정수를 보여주는 길잡이가 되어줄 수도 있다. 더없이 단순한 프라 안젤리코의 그림 앞에서 느끼는 경외감은 회화 평면이 바깥의 넓은 세계로 향하는 출구가 되어주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지현이 택하고 있는 회화의 길은 이 정답형 출구를 향한 오랜 믿음에 대한 회의를 담고 있다. 그의 방식은 2차원 평면의 완전무결함을 주장하던 모더니즘 시대의 방식에서도 비껴간다. 그는 오히려 회화 평면의 불완전함을 받아들이는 방식으로 회화의 문제를 풀어나간다. 하나의 평면으로 삶의 다채로움과 의식의 생리적인 움직임을 수용할 수 없음을 잘 알고 있는 것이다.

사물의 재현이라는 회화의 오랜 숙명을 받아들이며 포스트모던 시대를 사는 작가로서, 이지현은 시작과 끝이 없는 어떤 지각의 방식을 회화로 구현하고 있다. 드로잉적 요소를 반영하는 초기의 회화들에서부터 거울 작업들이나 액자 구조의 그림, 최근의 작업들에 이르기까지, 그의 작품은 하나의 차원에서 또 다른 차원으로 시선과 의식이 이동하며 만들어지는 복수적 인지 구조를 반영한다. 경계면이 맞닿아있는 이질적 차원들 사이를 왕래하면서 회화 평면 안에 공간과 시간의 게임을 펼쳐나가고 있는 것이다. 2006년 개인전 작품인 는 파르테논 신전의 건축물을 젠가 게임과 연결시켜 구성한 것이다. 이 작품에서 파르테논 신전의 벽돌은 게임의 유니트들과 중첩되면서 젠가 놀이의 한 요소처럼 보인다. 그림 속에서 작가는 게임에 열중하고 있는데, 이 모습은 화가로서의 이지현의 모습과 연계된다. 캔버스 위에서 마치 게임하듯 시공간의 차원들을 조합하거나 삭제하면서 독자적인 회화적 시공간을 구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임의 형국은 철저히 주관하는 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기에, 그 시공간의 게임이 앞으로 어떻게 펼쳐질지 예측할 수는 없다. 다만 최근작인 에서 약간의 변화가 읽혀진다는 점만 언급하고 싶다. 거대한 그리스 신전과 제주도의 화실 공간이 뒤섞인 이 작품은 여타의 작품들과 달리 실내 풍경화라기 보다 초현실적인 요소가 가미된 신전 풍경처럼 보인다. 배경의 하늘이나 야외 풍광에 보다 중점을 두어 그렸기 때문이다. 실내 공간과 기물들에 대한 오랜 탐구 끝에 나타난 이러한 변화가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되어 나갈지 흥미롭게 기대해본다.

*이 글은 2008년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에서 열린 이지현 개인전 ‘Reflective Surface’에 쓰였던 전시서문 입니다.

Text © Eunjoo Lee